안녕하세요, 국립박물관문화재단입니다.
국립중앙박물관에서 11월 26일부터 3월 3일까지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를 개최합니다.
이번 특별전은 고려청자 중에서도 고려 상형청자를 조명하는 첫 전시입니다.
12세기 동아시아 청자의 양대 산맥을 이루었던 고려 상형청자의 문화적 가치와,
그 안에 담겨있는 고려 사람들의 이야기를 만나보세요.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전시기간: 2024.11.26.(화)~2025.3.3.(월) |
이번 특별전은 국보를 포함한 다양한 국내외 기관의
고려 상형청자 대표작과 발굴품 총 274건이 처음 한자리에 모인 전시입니다.
고려 상형청자는 한국 문화의 정수로 꼽힐 만큼 뛰어난 미감을 가졌는데요,
아름다운 비색 유약과 뛰어난 조형성을 지닌 고려 상형청자를 통해
고려시대 공예의 창의성과 높은 기술력을 느껴보세요.
“전시 관람 포인트”
1️⃣고려 상형청자의 기술적 성취와 독자성
고려 상형청자는 뛰어난 기술력과 창의성을 보입니다.
이는 특히 동시기 중국 자기들과 함께 비교할 때 더욱 드러나는데요,
고려 상형청자는 중국 도자기의 영향을 받으면서도 고려만의 미적 시각으로
독창적이게 제작하여 북송 사신으로부터도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2️⃣과학적 조사로 밝힌 제작의 비밀
이번 전시는 컴퓨터 단층촬영(CT), 3차원 형상 데이터 분석 등
과학적 조사로 밝혀낸 상형청자의 제작 기법을 인터랙티브 영상으로 담아 선보입니다.
관람객들은 인터랙티브 영상을 통해 완벽한 상형청자의 형태를 재현하기 위해
다양한 기법으로 노력하던 고려 사람들의 창의성과 예술성을 엿볼 수 있습니다.
3️⃣과거와 현재를 이어주는 디자인
이번 전시는 새로운 디자인, 영상, 연계 프로그램을 통해
관람객들이 고려 상형청자 문화를 더 가까이 느낄 수 있도록 했습니다.
비색 빛을 사용한 감각적인 디자인과 다양한 영상 자료를 활용하여
현재 세대에게 새로운 영감의 원천을 제공하고자 했습니다.
“전시 구성”
1부 그릇에 형상을 더하여
고려 상형청자가 등장하기 이전부터 우리나라에는 ‘상형’의 전통이 존재했습니다.
삼국시대 3~6세기 신라와 가야의 상형토기와 토우 장식 토기를 중심으로
우리나라의 오랜 ‘상형’ 전통을 소개합니다.
2부 제작에서 향유까지
상형청자는 당시에 유행하던 문화와 취미에 맞추어 크게 발달했습니다.
개경에서 다양한 나라의 문화를 접한 고려 왕실과 상류층은
질이 더 좋고 특별한 도자기에 관심을 가졌는데요,
그리하여 수준 높은 기술과 창의력이 담긴 상형청자들이
고려 왕실과 상류층의 권위와 취향을 상징하는 기물로 선호되었습니다.
3부 생명력 넘치는 형상들
고려 상형청자는 용, 기린 등 상상의 동물을 비롯하여
고려 사람들이 사랑하는 다양한 동물과 식물을 소재로 만들어졌습니다.
생명체들의 다양한 형태와 아름다움을 섬세하게 담은 상형청자,
그중에서도 현대까지 보존된 명품 상형청자들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4부 신앙으로 확장된 세상
상형청자는 주자, 그릇과 같은 실용적 범주를 넘어
신앙적 바람을 담은 의례용 상형청자와 예배존상으로도 발달했습니다.
상형청자 그릇과는 또 다른 매력을 가진 종교 영역의 상형청자들은
관람객들에게 새로운 예술적 가치와 의미를 보여줍니다.
“전시 해설 및 입장료 안내”
*자세한 내용은 국립중앙박물관 홈페이지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티켓예매 바로가기
▼ 네이버
네이버 예약 :: 푸른 세상을 빚다 : 고려 상형청자
2024.11.26 ~ 2025.03.03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시실2
booking.naver.com
▼ 티켓링크
[티켓링크] 푸른 세상을 빚다 : 고려 상형청자
푸른 세상을 빚다 : 고려 상형청자
www.ticketlink.co.kr
“관련 상품 소개”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와 관련한 박물관상품이 출시되었습니다.
고려청자, 그리고 상형청자를 활용한 다양한 상품들을
박물관상품관과 온라인 상품관에서 만나보세요!
▼ 상품 안내
국립박물관 문화상품
특별전시도록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상형청자] 전시도록 30,000 New
www.museumshop.or.kr